안녕하십니까? 청각 솔루션 네트워크 히어링허브 서초본점의 김광재 전문 청능사입니다.

때때로 건강 검진 결과 귀에 문제가 있어서 보청기 착용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는 귀가 잘 안들리시네요~ 라는 말을 들으셨다고 하시면서 방문하시는 고객 분들이 있어요.

건강검진 청력검사는 일반적으로 주파수 범위인 500, 1000, 2000 헤르츠를 검사하며, 정상 범위보다 작은 3~40 데시벨의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 간단히 확인합니다. 그래서 건강 검진에서 청력 손실이 발견되었다면, 이미 어느 정도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건강검진 청력검사만 믿고 있어선 안되고 내가 난청이 의심된다면 가까운 이비인후과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아보시고, 필요시 주기적인 검진을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청력검사를 제대로 받았다 해도 처음 결과에 대한 설명을 들었을때 내 청력이 어떤 상태인지 정확히 파악하기란 어려운 일인데요. 청력검사지를 제대로 볼 줄 모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청력검사 수치 결과를 확인하는 방법과 청력검사 종류 그리고 비용까지 종합적으로 안내를 드려보겠습니다.

 

청력검사 수치 확인하는 방법

 

 

우선 청력검사 결과를 이미 받은 분들이 청력검사 수치를 어떻게 확인해야 되는지 부터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대부분 청력검사를 진행하셨다면 대표적인 청력검사인 순음청력검사와 어음청력검사를 진행하셨을 겁니다.

 

검사 결과지를 받았다면 네모 모양의 그래프에 체크된 청력결과 수치값을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토대로 담당 의사분께서 현재 난청 증상이 어느 정도인지 또는 데시벨(dB) 단위로 나타낸 청력 상태가 어떤지 알려주실 겁니다. 하지만 난청 발생 후 당혹스런 상태일 수도 있고 소리도 잘 들리지 않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알아듣는게 어려우실 겁니다.

 

그래서 이를 확인하는 법을 안내드려 볼게요~!

 

먼저 순음청력검사는 그래프로 표기되는데요 그래프의 좌우측은 다음을 나타냅니다.

 

 

소리의 크기 dB


청력 검사 결과 그래프에서 세로축에 표시되는 사항입니다. 소리의 크기가 어느 정도인지 측정할 수 있으며, 0dB에 가까울수록 청력이 좋고, 120dB에 가까울수록 나쁘다는 의미입니다.

 소리의 높낮이 Hz

 

그래프의 가로축은 주파수를 뜻하는데요. 간단히 설명드리면 소리의 높낮이를 말합니다. 1초 동안에 반복되는 횟수를 의미하며 헤르츠(Hz)로 표시를 합니다.

소리는 웅웅거리는 저음부터 삐익- 거리는 고음까지 여러 주파수대의 다양한 소리가 있습니다. 인간이 감지 가능한 주파수 대역은 20Hz부터 20000Hz까지 상당히 넓은 편으로 일상생활에서 주로 듣게 되는 125~8000Hz 범위의 주파수 대역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를 중점적으로 검사합니다.

 

 

청력검사지를 살펴보면 주파수대역별로 데시벨에 체크가 되어있는데요.

 

왼쪽은 파란색, 오른쪽은 빨간색으로 표시하며,기호로 표시가 되는데요 각각의 기호는 기도검사와 골도검사를 구분하며 차폐검사를 구분해 나타내는데 이미지를 참조해 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각 주파수별로 어느 정도의 크기로 소리를 들을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각 주파수별 낮은 데시벨 소리를 들을 수 있을수록 청력이 좋은 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청력검사 수치를 보면 중도난청 고도난청 등으로 얘기를 하는데 이는 각각의 주파수에서 측정된 청력 값 중에서 중요한 주파수 대역인 500, 1000, 2000Hz의 수치를 모두 합산한 후 3으로 나누어서 평균값을 산출한 결과로 평가를 합니다.

 

소리를 듣는 데 어려움의 정도에 따라서 경도 난청, 중도 난청, 고도 난청 등으로 구분해서 말합니다.
(하지만 경도 난청이라도 이후 고주파 대역에서 급격히 청력이 떨어진다면, 3분법으로 측정한 청력은 경도라도 실제로는 더 심각한 상태일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어음 청력검사 결과 값(WRS)을 확인하는 방법은 쉽습니다.

어음청력검사는 편하게 들리는 크기의 소리로 한 음절로 된 단어를 25개 들려준 뒤, 이를 백분율로 나타냅니다.

 

 

결과지를 보면 예를들어 80 dB / 44% 처럼 표기가 되는데, dB은 내가 편안히 들리는 크기의 소리를 나타내며, %는 해

당 크기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들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WRS 검사는 말소리를 이해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로 보청기를 사용했을 때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편안히 들을 수 있는 소리크기 보단 이 소리크기에서 내가 얼마나 말소리를 제대로 알아듣는지에 대한 능력을 보고 보청기 착용 후의 결과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청력검사 종류와 비용

 

 

대표적인 청력검사는 세가지 정도인데요. 위에서 수치해석법을 알려드린 순음청력검사와(PTA), 어음청력검사(WRS) 두가지와 청각장애판정을 받을 때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청성뇌간반응검사(ABR)검사까지가 대표적입니다. 

 

통상적으로는 청력검사를 진행시 순음청력검사와 어음청력검사를 진행하고, 청성뇌간반응검사의 경우 장애등록 시 또는 의사표현이 어려운 영유아 등을 검사할 때 이용됩니다.


간단히 각각 검사 종류별로 안내를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순음 청력 검사 (PTA, Pure Tone Audiometry)

 

단일 주파수만으로 이루어진 순음을 각각의 주파수마다 들려주어 주파수별로 청력 수준을 측정하는 검사로, 기도청력검사와 골도청력검사를 확인합니다.

 

좌 기도청력 / 우 골도청력


기도청력검사 : 청력 검사의 기초가 되며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착용 후 진행하게 됩니다.
골도청력검사 : 뼈를 진동시켜 내이 안에 위치한 달팽이관에 소리를 전달해 청력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기도 청력 검사와 골도 청력 검사 결과를 대조하면 난청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어요.

 

2) 어음인지역치/단어인지도 (WRS, Word Recognition Score)

 

 

 

1음절어 청력검사는 난청 환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소리 크기에서 얼마나 정확하게 소리를 인지할 수 있는지 평가하는 검사입니다. 1음절어 WRS 테스트는 앞으로 보청기를 사용하게 될 경우 그 효과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

또한, 2음절로 된 단어를 이용한 검사는 이미 알고 있는 쉬운 2음절 단어를 들려주어 기도 청력 검사 결과와 유사한지 비교합니다. 해당 검사는 기도청력검사 결과의 정확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됩니다. 일반적으로 이비인후과에서 청각 장애 진단서 발급 시에는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검사를 진행합니다.

순음청력검사와 어음청력검사는 각각 따로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두 검사를 하나로 묶어 가격이 결정됩니다.

청력검사 비용은 대략 2만원에서 5만원 사이로 결정되어 있습니다. (개인 병원부터 대학 병원까지 규모에 따라 비용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청성 뇌간 반응 검사 (Auditory Brainstem Response Test, ABR)

 

 

 

보통 자주 진행되지는 않는 검사입니다.

청각 장애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주로 활용되는 검사 방법 중 하나로 뇌파 반응을 측정하는 방식이에요. 이전에 시행했던 검사 방식들과는 다르게, ABR 검사는 머리와 귀 뒤쪽 유양돌기 부위에 전극을 붙인 후 진행하게 됩니다.

삽입한 전극으로부터 측정되는 뇌파 활동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런 방식을 활용하면 자신의 의견을 제대로 전달하기 어려운 영유아나 노인분들도 난청 여부를 체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 주파수별로 청력 역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고, 검사 시간도 대략 1시간 정도 걸릴 수 있어요.

해당 검사는 뇌파를 측정하는 방식이라 이비인후과 중에서도 장비가 없어서 검사를 받을 수 없는 곳도 있으니 검사가 필요한 경우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청력검사 비용은 뇌파를 측정하기 때문에 다른 검사들 보다 상대적으로 비쌉니다.

가격은 15만원에서 40만원 사이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개인 병원부터 대학 병원까지 규모에 따라 비용 차이가 발생합니다.)




오늘은 청력 검사 결과 값의 해석 방법부터 다양한 종류 및 소요되는 비용까지 자세하게 알아보았습니다.

만약 청력에 문제가 생겼다면 귀 건강 유지를 위해 정기적인 검진을 받아 상태를 체크해야 합니다. 또한 보청기를 통해 청력 저하를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어음인지능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재활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희 히어링허브를 방문해 주시면 병원과 동일한 장비를 통해서 정확한 청력검사를 기반으로 12단계의 체계적인 과정을 통해서 보청기 재활이 이뤄집니다.

귀 건강 관리가 필요하다면 히어링허브와 함께 시작해 보시는 건 어떠신가요?

 

이상 청각 솔루션 네트워크 히어링허브 서초본점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히어링허브 보청기

히어링허브 글로벌 청각기업의 실무경력을 갖춘 청능사와 언어재활사가 운영하는 전문 보청기 청각재활 센터로 Oticon, Phonak, Widex, Starkey, Signia(Siemens), Beltone 세계 유명브랜드사와 파트너쉽을 통

www.youtube.com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